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상업 입지론,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by 유익한 지식 날리지(naligi) 2024. 3. 4.
반응형

부동산 상업 입지론과 중심지 형성조건, 레일리의 소매인력 법칙을 알아보고 컨버스의 분기점 모형, 허프의 확률모델 모형, 넬슨의 소매입지론에 대해 알아봅니다.

 

중심 상업지 건물 사진
상업 입지론 등

 

상업 입지론

1.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거시적 중심지론)

 

중심지 형성조건

* 재화의 도달거리(범위)가 최소요구치보다 크면 중심지 형성

* 재화의 도달거리가 최소요구치보다 작으면 중심지 형성 불능

 

내용

* 중심지의 수는 저 차원 중심지에서 고차원 중심지로 갈수록 적어진다.

* 중심지간의 거리는 저 차원에서 고차원 중심지로 갈수록 멀어진다.

 

* 인구의 증가와 소득의 향상은 중심지간의 간격을 좁게 만들어진다.

* 고차중심지는 다양. 복잡한 기능 수행, 저차중심지는 단순한 기능 수행한다.

* 중차중심지가 포용하는 저차중심지의 수는 고차중심지로 갈수록 줄어든다.

 

* 교통이 발달하면 저차중심지는 쇠퇴, 고차중심지는 발달한다.

 

2.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

의의

두 도시 사이에 존재하는 소비자들에 대해 미치는 상권의 범위와 경계를 설명

 

내용

상권이 미치는 범위는 두 도시의 인구에 비레,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이 적용된다.

 

두 중심지(상권)의 크기가 같은 경우 상권의 경계는 중간지점이다.

A도시 > B도시인 정우 상권의 경계는 B도시 쪽(크기가 작은 쪽)에 가깝게 형성된다.

대도시에 적용하는데 문제, 허프의 확률모형 출현의 배경이다.

 

A도시의 영향력 / B도시의 영향력 = A도시인구 / B도시인구 * (B도시로부터의 거리/A도시로부터의 거리)^2

 

컨버스의 분기점(무차별점) 모형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을 응용하여 두 도시 간의 상권경계를 측정하는데 이용

 

A도시로부터의 분기점 =A와 B도시 간의 거리 / ( 1+Root [B도시인구(면적) / A도시인구(면적)] )

 

3. 허프의 확률모델(모형)

(미시적 중심지론. 소매지역이론)

의의

수요(소비자)의 개성(구매습관. 매물습관)을 중시하여 중심지론을 전개한다.

 

내용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상품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다.

적당한 거리에 고차원 중심지가 있다면 인근의 저 차원중심지를 그냥 지나칠 가능성이 높다.

동일한 거리인 경우 중심지가 큰 곳에서 상품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다.

 

고객유인력(흡인력, 고객의 매물출향비율)은 매장규모(면적)에 비례. 거리마찰계수 승수에 반비례한다.

수정모형에 의해 거리마찰계수는 2로 전제한다.

공식 = A매장 매장 면적/거리^2)/(A매장 매장 면적/거리^2 + B매장 면적/거리^2)

 

4. 넬슨의 소매입지이론

(점포입지의 8가지 원칙 제시)

 

현재의 지역후보의 적합지점

잠재적 발전성

고객의 중간유인

집중흡인력(집재성점포 관련)

경합성의 최소화(산재성점포 관련)

용지경제학

양립성(가장 강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