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 운용기능사 실기 공개 도면 01번에 대해서 처음부터 끝까지 실습과정을 상세히 그리고 아주 쉽게 설명합니다.
도면수치
모델링 과정
우선 A와 B를 구합니다.
A = 8 - 1 = 7
1번 부품 내부에 2번 부품 4각 모양이 들어가야 하므로 공차 1을 차감하여 A는 7이 됩니다.
B = 10 - 1 = 9
2번 부품의 상하에 1번 부품이 움직여야 하므로 공차 1을 차감하면 9가 됩니다.
1번 부품
우선 박스 3개를 아래와 같은 수치로 만들어 줍니다.
Box 20, 38, 9(=B)
Box 8, 20, 9(=B)
Box 20, 8, 23
첫 번째 육면체의 전면부를 곡면처리 R=10 처리하고 두 번째 육면체를 정렬 위치 조정합니다.
내부의 입면체를 차감하여 줍니다.
위의 변에 비지시 라운드 R=3 이므로 필렛 R= 3 처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세 번째 입면체를 상단 필렛 R=6 처리하여 곡면화 합니다.
위의 입면체에서 중간의 구명을 해주기 위해 새로운 Box(14, 8, 6)을 만든 후 4개 변에 필렛 R=3 처리합니다.
필렛 R=6 처리된 입면체와 위의 입면체를 정렬 및 위치 조정(맨 위에서 3만큼 하향)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외부 면체에서 내부 면체를 차감(Subtract)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도형과 앞에서 만든 곡면화된 입면체를 정렬 조정하면 아래와 같이 만든 후 결합(Merge)하여 줍니다.
결합된 도형의 우측 하단을 모떼기(Chamfer) C=5 처리합니다.
2번 부품
2번 부품을 만들기 위해 3개의 Box를 아래와 같이 만들어 줍니다.
Box(20, 8, 15)
Box(7(=A), 8, 10)
Box(15, 8, 5)
상단의 곡면처리(Fillet) R=5를 처리해 줍니다.
비번호를 입력하여 음각 -1 처리해 주고, 2, 3 번체 입면체를 차례로 붙여준 후 결합(Merger)하여 줍니다.
2번 부품 완성
2번 부품을 1번 부품과 조립하기 위하여 회전하면 아래와 같고, 도면과 같은 모양이 됩니다.
부품 조립 완료
1번 부품과 2번 부품을 중앙 정렬한 후 중앙 사이에 공차가 발생하도록 조절하여 주면 아래와 같습니다.
검증 확인
부품 1, 2 조립 후 정 전, 좌, 우, 위, 아래면을 보면서 공차 등을 유심히 보면서 검증합니다.
측면
윗면
윤곽석 윗면
윤곽석 측면
윤곽석 전면
출력 방향
위와 같은 도형을 그대로 출력하면 지지대(Support)가 많이 발생하여 시간 및 제거량이 많아지므로 아래와 같이 하면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공기 도면 1번에 대하여 모델링을 하였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