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 출력물 후가공 공정(하도 중도 상도) 및 압출, 분사, 분말, 수조 광경화 방식, 표면 개선 방법(사포 퍼티 훈증기 사용), 도장, 운용 기능사 필기 대비
3D 프린터 출력물 공정인 하도 중도 상도 과정과 압출, 분사, 분말, 수조 광경화 방식에 따른 후가공 처리, 표면 거칠기 개선 방법(사포 퍼티 훈증기 사용), 도장처리 등에 대해 알아봅니다. 또한 3D 프린터 운용 기능사 필기시험에도 대비할 수 있습니다. 표면 처리출력물의 후가공3D 프린팅으로 만들어진 출력물의 후가공은 하도, 중도, 상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모든 후가공 작업에서 피부의 오염을 막기 위하여 손 장갑(천, 고무/라텍스 소재)과 분진 및 화학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마스크(분진 및 아세톤 증기 차단용)를 착용해야 한다.1. 하도하도는 단순한 표면 처리 및 사포질, 중도는 서페이서/퍼티 작업/아세톤 등으로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가공이다. 하도에서는 비교적 떼어 내기 쉬운 큰 서포트를 ..
2024. 6. 29.
3D 프린터 공정과 각 방식에 따른 개요 지지대 출력 방향(수조 광경화, 분말, 접착제, 에너지 침착, 판재), 운용 기능사 필기 대비
3D 프린터 공정과 각 방식(수조 광경화, 분말, 접착제, 에너지 침착, 판재)에 따른 개요 지지대 출력 방향 등에 대해 알아봅니다. 또한 3D 프린터 운용 기능사 필기시험에도 대비할 수 있습니다. 3D 프린팅 공정3D 프린팅 기술은 다양하며 재료를 성형하는 방법인 공정으로 구분된다. 각 공정에 따라서 제품이 성형되는 바닥면의 위치와 지지대의 형태가 달라진다.3D 프린팅의 플랫폼과 지지대는 매우 중요하다. 3D 프린팅에서 재료는 다양한 방법으로 플랫폼 위에 성형되어 출력물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출력 도중에는 플랫폼에 재료가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어야 하며, 출력이 종료되면 플랫폼에서 출력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1. 수조 광경화 (Vat Photopolymerization)(1) 개요용기 안에..
2024. 6. 27.